전체 글80 [UE5] [C++] Remove, RemoveAllSwap 비교 RemoveAllSwap의 작동 방식과 성능상 이점언리얼 엔진의 TArray 컨테이너에서 제공하는 RemoveAllSwap 함수는 일반적인 Remove 방식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성능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점과 RemoveAllSwap이 더 빠른 이유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삭제 방식의 차이1. 일반적인 Remove 방식일반적인 Remove는 요소를 삭제할 때 해당 요소 뒤에 있는 모든 요소들을 한 칸씩 앞으로 이동시킵니다.TArray Array = {1, 2, 3, 4, 5};// 2를 삭제할 경우// {1, [2], 3, 4, 5} -> {1, [3, 4, 5]} // 삭제된 요소 뒤의 모든 요소를 한 칸씩 앞으로 이동2. RemoveAllSwap 방식RemoveAl.. 2024. 11. 15. [UE5]언리얼 엔진에서 확률을 소수점 두 자리까지 변환하는 함수 제작 언리얼 엔진(UE4, UE5)을 사용해 게임을 개발하다 보면 종종 확률을 계산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. 저는 데이터의 숫자가 int32로 쓰여져 있는 상황에서 1,000,000 을 100%의 확률을 나타내는 값이라고 정의 했을때, 주어진 숫자를 확률로 변경하면서 소숫점 두번째 자리까지만 표현하고 싶은 상황에서 어떤식으로 처리했는지 알아보려 합니다. [문제]100만이 100 % 를 나타내는 상황에서, 어떤 값이 주어졌을 때 이를 소수점 두 자리까지의 퍼센트로 변환해야 합니다.예를 들어, 25, 000은 0.025 % 로 변환되어야 합니다.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: 주어진 값을 100만으로 나누고, 100을 곱하여 퍼센트로 변환합니다. 변환된 .. 2024. 11. 7. 이벤트 버블링 (Event Bubbling) - 언리얼5(UE5) 이벤트 버블링(Event Bubbling) 은 UI 이벤트 처리에서 일반적인 개념으로, 특히 브라우저나 UI 프레임워크(예: Slate, HTML DOM 등)에서 많이 사용됩니다.이벤트 버블링 (Event Bubbling)이벤트 버블링은 사용자가 특정 UI 요소(위젯)를 클릭했을 때 발생한 이벤트가 해당 요소뿐만 아니라 부모 요소들로 전달되는 동작을 의미합니다. 즉, 이벤트가 하위에서 상위 요소로 '버블(거품)'처럼 올라가는 과정입니다.예시: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버튼을 클릭했을 때, 해당 버튼 위젯에 클릭 이벤트가 먼저 발생합니다.클릭 이벤트가 처리되지 않으면, 이 이벤트는 해당 버튼의 부모 요소인 div, section 같은 상위 요소들로 전파됩니다.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벤트가 body나 ht.. 2024. 9. 9. TMap과 TArray의 이동 시멘틱(move semantics) `TMap`과 `TArray`가 이동 생성자와 이동 할당 연산자를 지원한다는 것은 C++11에서 도입된 이동 시멘틱(move semantics)을 활용한다는 의미입니다. 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: 1. 이동 생성자 (Move Constructor): - 새 객체를 생성할 때 기존 객체의 리소스를 '훔쳐올' 수 있습니다. - 포인터만 복사하므로 깊은 복사를 피할 수 있습니다. 2. 이동 할당 연산자 (Move Assignment Operator): - 이미 존재하는 객체에 다른 객체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. - 기존 리소스를 해제하고 새 리소스의 소유권을 가져옵니다. `TMap`과 `TArray`에서 이것이 의미하는 바: - `TMap`: 키-값 쌍을 저장.. 2024. 8. 27. 이전 1 2 3 4 5 6 ··· 20 다음